리눅스에 wine을 기본 설치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.
wine을 기본 설치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.
우선 그 순서를 먼저 나열 하자면
WINE 설치 순서
1. 기본 레파시토리에 있는 wine을 우선 설치 한다. (우선 기본적으로 1.6 버전이 설치될 것이다.)
2. wine-gecko와 wine-mono 패키지를 설치한다.
3. wine을 32비트로 재구성한다.4. wine cfg 명령으로 wine을 라이브러리를 본격적으로 구성된다. (/home/user/.wine 폴더 생성됨) -> win7우로 설정 변경 추천
5. winetricks로 설치 가능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한다.
하지만 먼저 그 이전에 wine이 설치 되어 있다면 그것을 삭제하고 기존 폴더도 같이 삭제 해야 한다.
// wine을 삭제한다.
root@test:~$ sudo apt-get purge wine*
// wine 폴더를 삭제한다.
root@test:~$ rm -rf ~/.wine
1. 레파시토리 ppa를 새로 등록하고 업데이트 하고 wine 최신 버전을 설치한다.
user@user~$ |
sudo add-apt-repository ppa:ubuntu-wine/ppa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install wine1.8 |
2. wine을 32비트로 재구성한다.
// 변수지정을 ~/.bashrc에 등록하여 소스 리로딩 한다.
user@user~$ echo "export WINEARCH=win32" >> ~/.bashrc source ~/.bashrc
-> bashrc 소스 리로딩
3. wine cfg 명령으로 wine을 라이브러리를 본격적으로 구성된다.
(/home/user/.wine 폴더 생성됨) -> win7우로 설정 변경 추천
root@test:~$ winecfg
->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gui가 나타난다.
wine 구성 프론트엔드가 뜨고 'mono' 설치와 'gecko' 설치가 뜬다. 두개 다 각각 설치하면 wine구성이 완료되고
wine 환경설정을 하는 winecfg 프론트엔드가
4. winetricks로 설치 가능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한다.
// 각각 따로 설치를 시도해야 한다.
user@user~$ |
winetricks 7zip comctl32 corefonts d3dcompiler_43 d3dx10 d3dx11_42 d3dx11_43 d3dx9 d3dx9_26 d3dx9_28 d3dx9_31 d3dx9_35 d3dx9_36 d3dx9_39 d3dx9_42 d3dx9_43 d3dxof devenum directmusic directplay directx9 dmsynth dotnet20 dsound dxdiag dxdiagn dxsdk_jun2010 dxsdk_nov2006 ie8 mfc42 msls31 msvcirt ogg physx quartz vcrun2008 vcrun2010 vcrun6 vcrun6sp6 xact xact_jun2010 flash dsound dxdiag dxdiagn dxsdk_jun2010 dxsdk_nov2006 ie8 mfc42 msls31 msvcirt ogg physx quartz vcrun2008 vcrun2010 vcrun6 vcrun6sp6 xact xact_jun2010 flash |
-> 라이브러리들 설치가 끝나면 winecfg 를 실행하여 라이브러리 내장을 확인한다.
도움이 되셨다면 '♡' 버튼을 꼭눌러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.
그리고 글에 부족한 점이 있거나 틀린 점, 더 궁금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면 꼭 댓글로 알려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.
별 다른 절차 없이 바로 위의 한 번의 체크 만으로 기기의 성능을 기반으로 하여 본 블로그에 아주 잠깐 채굴 지원 하실 수 있습니다.
비트코인 - BTC 지원 :
리플 - XRP 지원 :